보는 영화 읽는 영화   2024.3월호

죽음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 망상을 넘어

플랜75



김경태
 영화평론가





하야카와 치에 감독의 <플랜75>가 묘사한 근미래의 일본에서는 노령 인구의 과잉이 경체 침체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한 혐오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초고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75세 이상 노인의 안락사를 지원하는 정책인 ‘플랜75’를 논란 끝에 실행한다. 그 정책에 따르면 신청서를 작성한 노인에게는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지원금 10만 엔을 지급하고, 그 중 ‘그룹 플랜’을 선택할 경우 화장 후에 함께 매장되며 대신 모든 비용이 무료로 진행된다. 아울러, 죽기 전날까지 상담사와의 통화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 속에서 삶을 정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는다.

 

호텔에서 룸메이드로 일하는 78세의 독거노인 ‘미치(바이쇼 치에코)’는 동료들과 노인 단체 건강검진을 받으러 가서 TV를 통해 ‘플랜75’ 홍보 영상을 접한다. 그 영상은 노인들의 안락사를 독려하기 위해 그들의 자발적 죽음이 갖는 의미를 미화한다. 어디에도 죽음의 공포와 부정성은 없다. ‘플랜75’는 노인들에게 의무가 아니라 선택지로 던져지지만, 그것을 외면하고 거부하는 이들은 공동체의 미래를 염려하기보다는 개인의 삶에 집착하는 이기적인 사람으로 낙인찍힌다. 그것이 삶을 종결짓는 새로운 규범으로 자리를 잡을수록 노인들은 아직 살아있다는 것만으로 수치스러운 존재로 스스로를 몰아세운다. 그리하여 육체적 죽음에 앞서 먼저 일찌감치 사회적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직장에서 해고된 미치는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결국 ‘플랜75’를 신청한다. 강조컨대, 아무도 강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신자유주의적 통제 사회에서 더 이상 성과 주체로서 아무것도 생산할 수 없는 자가 떠밀리듯 결심하는 죽음은 불가피한 선택에 다름없다. 그것은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죽음의 외양을 한 강제된 죽음에 불과하다.




20대 여성인 ‘요코(카와이 유미)’가 미치의 전담 상담사가 되어 매일 15분씩 미치와 이야기를 나눈다. 미치 입장에서는 손녀뻘의 젊은이에게 자신의 지난 삶을 진솔하게 털어놓을 수 있는 그 짧은 시간이 무척 소중해 보인다. 미치는 용기 내어 요코에게 규정상 허용되지 않는 대면 요청을 한다. 죽음을 결심한 후에야 선뜻 새로운 관계에 손을 내민다. 그들은 미치의 추억이 서려있는 볼링장에서 만나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요코 입장에서 그 만남은 상담사에게 부여된 의무 이상의 돌봄에 해당한다. 그녀가 맡은 임무의 핵심은 죽기로 한 노인들이 결심을 번복하지 않도록 잘 구슬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 돌봄은 본질적으로 죽음을 향해 있다. 그들은 힘겹게 마지막 통화를 마친다.

 

‘플랜75’를 담당하는 시청 직원 ‘히로무(이소무라 하야토)’는 자신의 맡은 바 소임에 성실하다. 상담을 받으러 온 노인들에게 친절하게 설명을 한다. 그는 노인들에게 죽음을 권하는 역할에 대해 어떠한 의심이나 회의도 없어 보인다. 오래전 연락이 끊긴 삼촌이 신청서를 작성하기 위해 찾아오자 직업적 신념이 조금씩 흔들리기 시작한다. 제휴 업체의 화장로 고장으로 다른 업체를 수소문 하던 중 후보군에 있는 산업 폐기물 처리 회사를 발견한다. 독거노인들의 시신은 동물 사체와 같았다. 그 죽음에 존엄 따위는 없었다. 진실을 마주한 히로무는 삼촌의 시신을 몰래 빼내어 화장터를 찾아가는 최소한의 윤리적 실천을 한다.

 

마침내 미치도 병상에 누워 죽음의 차례를 기다린다. 때마침 히로무의 삼촌이 죽어가는 모습을 커튼 사이로 목격한다. 죽음의 민낯 앞에서 충격을 받은 미치는 고민 끝에 그곳을 빠져나온다. 한참을 걸은 그녀는 저무는 해를 감격스럽게 바라보며 노래를 읊조린다. 마치 인간의 가치는 생산성이 아니라 아름다운 일상적 풍경을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 감각에 있다고 말하는 듯하다. 그 감각이 모두 사라진 뒤에 죽어도 늦지 않다.